
대형해양동물의 행동생태 연구
MARC는 제주 남방큰돌고래를 시작으로, 바다거북, 상괭이와 같은 대형해양동물의 행동생태를 연구합니다. 개체를 구별하기 위해 사진을 찍고, 행동을 기록합니다. 매 필드 시즌 새로 나타난 개체를 식별하고,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모니터링 합니다.
고래류에서는 의사소통을 위해 음향이 매우 중요하게 사용됩니다. 다양한 행동과 소리를 연관시킴으로써 개체간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의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행동 패턴과 서식지의 이용 양상에 대한 장기적 변화를 모니터링합니다. 오랜 기간 연구가 이루어질수록 쌓이는 자료들은 개체군 단위의 생태적 정보를 제공하며, 다양한 요인으로 인한 해양환경의 변화가 대형해양동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더 많은 해양동물들에서 더 다양하고 흥미로운 연구를 더 많은 사람들과 함께 해 나가는 것이 MARC의 목표이자 꿈입니다.
주요 연구 주제
○ 방류 개체의 추적
○ 개체군 특성
○ 기초 행동 패턴
○ 서식지 이용
○ 음향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 무리의 구성과 사회 구조
○ 인간 활동에 의한 영향
주요 연구 주제

남방큰돌고래 행동생태
제주 연안에서 연중 발견되는 남방큰돌고래의 기초 행동 패턴, 서식지 이용, 소리 행동, 인간에 의한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합니다.

바다거북 서식지 이용
제주 바다에도 바다거북이 살고 있습니다. 바다거북의 이동경로, 서식지 이용에 대한 장기 생태 연구를 진행합니다.

상괭이 음향 · 행동
연간 천여마리 이상이 혼획으로 사라져가는 상괭이는 한국, 중국, 일본이라는 한정된 공간에 서식하고 있습니다. 잘 알려져 있는 않은 상괭이의 생태를 음향을 중심으로 연구합니다.
MARC 연구 논문 출간
MARC는 제주 남방큰돌고래를 시작으로 우리 바다에 서식하는 다양한 해양생물들의 생태 및 보전과 관련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이를 학술적 연구 결과물인 논문으로 출간하기를 목표합니다.
꼬리 없는 ‘오래’ 연구 논문
Mi Yeon Kim, Jae Chun Choe, Dong-Guk Paeng, Shiro Kohshima, & Soojin Jang, 2022. The Survival of a Fluke-less Juvenile Dolphin(Tusiops aduncus) in the Wild. Aquatic Mammals 48(6), 505-508.
원담의 ‘담이’ 연구 논문


Minjee Choe, Soojin Jang, Mi Yeon Kim, Byung-Yeob Kim, Jae Chun Choe, 2022.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Tursiops aduncus) Repeatedly Self-Confining in a Traditionally Built Basin Off Jeju Island, Republic of Korea. Aquatic Mammals 48(2), 110-116.
푸른바다거북 이동경로 위치추적 논문

Jang, Soojin, George H. Balazs, Denise M. Parker, Byung-yeob Kim, Mi Yeon Kim, Connie Ka Yan Ng, and Tae Won Kim. 2018. Movements of green turtles (Chelonia mydas) rescued from pound nets near Jeju Island, Republic of Korea. Chelonian Conservation and Biology, 17(2), 236-244.
